■ 거사 이전
 → 1908
            충남 예산 출생
 → 1927
            농촌 계몽 운동가로 활동하며 야학 교재로 ‘농민독본’을 저술 - 보물 568호 
 → 1931.5 상해로 넘어가 한국교민단 사무소에서 김구를 만남
 → 1931.7 만보산(완바오산) 사건으로 조선인과 중국인의 사이에 갈등
              악화되고, 중국의 지원이 끊김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특무기관인 한인
            애국단을 조직
 → 1932.1 이봉창 의사 의거 
 → 1932.3
            일본은 상하이를 침공하여 함락시키고, 일왕 생일 및 상하이 사변 전승
            축하 행사를 준비
 → 1932.4.26
            윤봉길은 한인애국단 가입
          
            ■ 훙커우 공원 거사
 → 1932.4.29 11:50
            2부 행사 진행중 물통형 폭탄을 단상 중앙에 투척 
 - 일본군 육군대장, 해군 제3함대 사령관, 주중
            일본 공사 등 주요 장성과 고관 처단을 처단
 → 윤봉길
            의사는 곧바로 체포됨
 → 5.25
            일본군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음
 → 12.19 19:40
            가나자와 위수구금소에서 순국
          
            ■ 사건의 영향
 -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 국민당 정부는 한국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함 
 - 일제의 단속이 강화되어 독립운동가들은
            상하이를 떠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