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집권체제 확립, 국가 재정의 충실, 영토의 확장, 민생의 안정, 문화 발달 등을 이룩
            ■ 1420.3 집현전 설치 - 경연과 서연에서 유가
            경전과 역사서를 읽고 토론하는 업무 담당
 → 1428
            이후, 학술 연구 사업(고제 연구,
            서적 편찬 사업)을 수행
 → 1456 사육신 사건을
            계기로 집현전 혁파_세조(7/26)
          
■ 1429 농사직설 편찬 - 농사 경험이 풍부한 농부들로부터 농사짓는 방법을 채집하여 종합·정리
            ■ 금속활자 주조
 - 1430
            경자자 → 1434 갑인자 → 1436 병인자
          
            ■ 1432 장영실, 이천 등에게 각종 천문 관측기구를 제작하게 함
 - 1434
            석축 간의대 축조하여 관측 기계들을 비치하여 천문을 관측 
 → 1438 혼천의 등 모두 완성 
■ 1434
            물시계 자격루 제작 - 보루각에 설치하여 표준 시계로
            사용 
■ 1441 측우기 발명 - 강수량 측정 제도 마련
          
            ■ 1433 향약집성방 완성_집현전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를 이용한 처방을 연구
 → 1445 의방유취
            편찬_집현전 - 임상적 처방을 병증에 따라 분류·집성
          
■ 1436 의정부 서사제 시행 - 이전까지 6조 직계제 시행
            ■ 공법의 시행 
 → 1436 공법상정소 설치 - 풍흉을
            조사하여 세율을 정하는 답험손실법의 부정을 개정
 -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6등급, 풍흉 정도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고 기본 세율을
            1/20(5%)로 하는 것을 기본
 - 약 17만 명에게 여론
            조사 실시
          
            ■ 1442 칠정산내외편 편찬 - 역서
 - 1445
            제가역상집 편찬 - 역서
          
            ■ 1443.12 훈민정음 창제
 → 1446.9.29 훈민정음 공식 반포 
 - ‘용비어천가’를 훈민정음으로 번역,
            ‘삼강행실도’에 훈민정음으로 해설을 첨부하여 반포
          
            ■ 화약 무기 제조 기술 발전, 화포의 개량과 발명이 계속됨
 → 1448
            총통등록 편찬 - 화포 제작 및 화약 사용법 정리
          
            ■ 북방 개척(4군 6진 개척) - 여진족 정벌
 - 압록강
            유역에 4군 설치, 두만강 방면에 김종서를 6진 개척
 → 중국과의 국경선 확정 
          
            ■ 세종실록 오례 
■ 아악 정비, 악기 제작, 향악 창작, 정간보 창안
            
■ 법전 편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