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즉위 이전
 → 1552
            덕흥대원군(명종의 이복동생)과 하동부대부인 정씨 사이에서 출생
 → 1565
            문정왕후 사후, 척신계 인물들을 제거
 → 1567
            명종이 후사 없이 승하
          
            ■ 즉위 이후
 → 1567
            즉위
 - 이황을 중심으로 사림 인사를 대거
            기용하고, 천거를 통해 조식·성혼 등을 기용
 - 근사록·소학·삼강행실
            등 서적을 간행하여 성리학적 질서가 사회 전반으로 퍼짐
 → 1575 사림의 정계 주도권 장악 → 붕당 정치
              시작, 동인(신진 사림)과 서인(기성 사림)으로 양분
 → 1583
            여진족 나탕개의 난을 토벌하며 신립과
            이순신 등이 공을 세워 신임을 얻음
 → 1589
            기축옥사(정여립 모반사건) - 동인들이 처형되며, 동인은
            서인에 대해 온건한 남인과 강경한 북인으로 분열
 → 1592.4 임진왜란 발발 - 선조는
             의주로 피난하여  명에
            원병을 요청, 광해군은 조선 각지에서 의병을 모집
 → 전라도에서
            이순신이 활약했고, 명의 지원군이 합류하여 일본을 경상도 해안 일대로
            몰아냄
 → 1953.3
            권율의 행주대첩 승리
 → 1593.4
            선조는 서울로 돌아옴 - 궁궐이 모두 불에 타서 선조는
            정릉동 행궁에서 생활
 → 1594
            훈련도감 설치
 → 1597 정유재란 발발 - 명에 파병을 요청하여 함께 일본의 북진을 차단
 → 이항복,
            정곤수, 이순신, 원균, 권율 등 공신 책봉 - 선조를
            호송하고 명의 참전을 성사시킨 인물들을 높이 평가
 → 1608
            정릉동 행궁에서 승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