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950년대
            정부의 농업 정책과 대규모 미국산 농산물 도입으로 인해 1950년대 말
            농가 수지는 악화됨
 → 1961 군사정권 수립 - 2차 산업 중심의 경제 개발 실시, 농촌 고리채 정리사업을
            추진했지만 성과는 미비
 → 1960년대 후반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심화되고, 이농 현상도 심각해짐
          
            ■ 70년대 새마을 운동
 → 1970.4 박정희는 전국 지방 장관 회의에서 ‘새마을 가꾸기’를
              언급 
 → 1970.10~1971.6
            관료 주도의 마을 정비 사업을 추진
 - 농가에
            시멘트 무상 지원, 볏짚 지붕을 슬레이트로 대체, 마을 안길 정비 등
            하여 마을 환경 미화에 착수
 → 1971
            근면·자조·협동을 새마을 정신으로 내세움
 → 1972
            새마을 가꾸기 사업을 새마을 운동으로 확장
 → 1972
            새마을 운동 중앙협의회 설립하고, 환경 개선에서 농민들의 의식
            개발·소득 증진 등으로 확장
 → 1973
            중앙·지방, 관·민 연결 조직 구성
 → 1974
            공장 새마을 운동 전개
 → 1976
            도시 새마을 운동 전개
 → 이후, 지역 새마을 운동,
            부녀 새마을 운동, 직장 새마을 운동, 새마을 청소년 운동 등 시행
          
            ■ 70년대 새마을 운동 결과
 - 주거환경 개선과 환경 미화는 성과를 보였지만, 농가 소득
              증대의 성과는 미비 
          
            ■ 이후에 새마을 운동
 → 1981
            새마을 운동 중앙본부 설립 - (실제는 반관반민 체제로)
            민간 주도 새마을 운동으로 변화
 → 1988
            새마을 운동 중앙본부는 5공 청문회에서 비리의 온상으로 지목
 → 1993
            2단계 새마을 운동 선포
 → 2000
            새마을 운동 중앙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UN 비정부 기구(NGO) 가입
 → 2003
            아프리카·아시아 저개발국에 새마을 운동을 보급
 → 2011
            국회에서 ‘새마을의 날’ 지정 - 4월 2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