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C 국내외 상황
 - 1616
            후금 건국
 → 1618
            명은 후금 정벌을 위해 조선에 원병 요청하지만, 광해군은
            중립외교(실리외교)를 실시
 → 1623
            인조반정 - 서인과 남인이 연대하여 인조를 옹립하고
            친명배금 정책(명분외교)을 시행
 → 1627
            정묘호란 - 후금과 형제 관계를 맺음
 → 1636
            청은 국상 조문을 위해 방문하여 군신 관계를 요구하지만, 조선은 이를
            거부
 → 1636.4
            후금은 청으로 국호를 청으로 변경
          
            ■ 병자호란
 - 1636.12.1
            청은 조선이 군신 관계를 거부하자, 명을 공격하기에 앞서 명의 동맹국인 조선을 공격 
 → 12.14 조선
            조정은 청군이 개성을 통과했다는 소식에 강화도로 파천 결정
 → 원손,
            둘째 아들(효종) 등은 강화도로
            이동하지만, 인조 일행은 강화도로 가는 길이 막혀 남한산성으로 이동
 → 12.16
            청 선봉대가 남한산성에 도착하고 이어 주력군도 도착
 → 조선 조정은 40여 일간 남한산성에 고립되어 항전 
 - 관군, 의병, 승병, 명의 원군이 남한산성을
            지원하려 했지만 모두 실패
 - 고립 초기엔
            척화주전파 김상헌 등이 우세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주화파 최명길 등이
            우세
 → 1.20 청
            태종은 항복을 요구
 → 1.22
            청군은 강화도를 습격하여 왕족들을 포로로
            잡음 → 인조는 항복을 결심
          
            ■ 항복 조약
 - 조선과 청은 군신 관계를 맺음 (정묘호란 땐 형제 관계)
 - 명과 외교 단절
 - 청이
            명을 정벌할 때 원군을 파견
 - 청에 조공을 바침
 - 왕의
            장자(소현세자)·차자(봉림대군)와 대신의 아들을 인질로 보냄
■ 삼전도의 굴욕
 - 1.30
            인조는 삼전도에서 청 태종을 향해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의례(삼배구고두)를 행함
          
            ■ 병자호란 이후의 조선
 - 병자호란 중 다양한
            계층의 조선인들이 청에 포로로 끌려가서 이를 데려오기 위해 몸값을
            지불해야 했음
 - 청 태종의 공덕을 칭송하는
            삼전도비를 세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