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60년 열강에 의해 북경이 함락되고, 러시아는 조선에 이권을 요구
 → 천주교도는
            흥선대원군에게 천주교를 통해 영국, 프랑스와 동맹을 맺자고
            제안하지만, 대원군은 통상을 통해 이익을 얻고 포교의 자유를 얻으려는
            천주교의 계책이라 판단
 → 1866 병인박해 발생 
 → 살아남은 선교사는 프랑스 함대 사령관(로즈
            제독)에게 박해 사실을 알림
          
            ■ 프랑스군의 강화도 침략과 조선의 대응
9.6 프랑스군은 갑곶진에
            상륙하여 주둔
 → 9.8 프랑스군은 강화부 남문을
            공격하여 함락시킴 - 강화부를 점령하여 미곡 운반 통로인 한강 입구를
              봉쇄 
 → 9.9 이용희, 양헌수 등이 통진부에 도착하여
            로즈 제독에게 격문을 보냄
 → 9.11 로즈 제독은
            선교사 처형을 주도한 관료, 조약 체결을 요구 - 조선은
            답변 없이 무력대응 준비
 → 9.13 문수산성으로
            방어 병력 출병
 → 9.15 흥선대원군은 항전 의지를
            공포
 → 9.19 프랑스군은 문수산성을 점령
 → 10.1
            양헌수는 강화도 정족산성(내부에 전등사가 있음)에 잠입
 → 프랑스
            군은 양헌수 부대가 정족산성에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전등사고
            출병
 → 양헌수 부대는 지리상 이점을 이용해
            프랑스군과 전투 개시
 → 10.5 프랑스군은 강화도에서 퇴각 
          
            ■ 이러한 과정에서 프랑스군은 외규장각 도서 등 문화 유산과 재물을
            약탈함
            ■ 왕실 도서가 불에 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