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군정의 초기 대응
 → 일제가 항복하기 며칠
            전부터 소련군이 북한 지역으로 진출
 → 1945.8.15
            태평양 전쟁에서 일왕은 무조건 항복을 선언
 → 9.2
            일본 대표가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미군은 남쪽에(소련은 북쪽) 주둔한
            일본군에게 항복을 지시
 → 9.7 위도 38도선 이남에서 미군정 실시가 선포됨 
 → 9.8
            전투부대인 미 육군 24군단이 일본군의 무장 해제와 소련의 한반도 점령
            저지를 목적으로 인천에 상륙
 → 9.9
            미군정은 총독부 체제 유지를 발표하고, 아베 총독 등 고위 관료를
            유임
 → 9.12 한국인들이 일제 관료 유임에 반발하자, 일본 관료들을
              해임하고 미군 장교들을 임명하여 미군정청을 선포 
 - 미군정청은 민간 행정 업무와 치안(경찰)
            업무를 담당
 - 일본 고위 관료들은 고문으로 남아
            있었으며, 한국인 관료들은 유임됨
          
            ■ 우익 중심의 정계 개편 추진
 → 1945.10.5
            미군정청은 친일 경력 인사들이 있는 우익 정당인 한국민주당 계열의
            군정청 고문단을 임명
 → 10.10
            38도선 이남에 미군정 외에 정부 수립을 불가 발표
 - 건국준비위원회를
            계승한 조선인민공화국을 부정
 -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사들은 정부 자격의 귀국 금지
 → 10.23
            이승만·우익 인사 중심의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발족
 → 1946.1
            조선국군준비대 해산 - 좌익 세력 약화
          
            ■ 한인화 정책 추진
 → 1946.3.20~5.6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무기휴회
 → 미군정청은
            ‘군정의 한인화’ 정책과 온건 좌·우파(중간파) 정치인의 입법자문기관
            구성 추진
 - 1946.9
            한국인에게 행정권 이양 발표 - 최종 권한 없음
 - 여운형·김규식 중심의 좌우 합작 운동을 지원했지만,
              결과적으로 우파 기구인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수립 
 → 1947.5.21~10.21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실패하자 미국은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추진
 → UN 소총회에서 남한의 단독선거가
            결정됨
 → 1948.5.10 남한 총선거 실시 
 → 8.15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며 미군정은 종료됨 
          
■ 소군정(소비에트 민정청)은 행정권을 인민 위원회에 이양하고, 김일성 등 공산주의 세력 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