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동북항일연군


1930년대

만주사변 이후 중국 공산당은 한인들과 동북항일연군을 창설함.
동북항일연군은 일제의 대규모 토벌작전으로 거의 괴멸되지만 소련의 지원을 받음.
이후 동북항일연군 출신들은 만주로 진입해 정치 세력화되고, 일부는 북한 지도층이 됨.

■ 배경
 ▶ 1931.9 만주사변 이후 일본이 만주국을 세우자,
 ▶ 1933.8 중국 공산당은 항일투쟁을 위해 동북인민혁명군을 조직했고, 상당수 한인이 간부로 참여함.
 ▶ 1935 주로 만주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평안북도 후창군 동흥읍을 습격하기도 함(동흥습격사건).

■ 동북항일연군
□ 형성과 확대
 ▶ 1935 중국 공산당은 코민테른의 ‘반제국주의 인민통일전선’ 방침을 받아 항일연군 조직을 지시함.
 ↘ 코민테른(Comintern)은 1919년 창설된 국제 공산주의 조직
 ▶ 1936 ‘동북항일연군통일군대건제선언’을 통해 동북항일연군을 창설하고, 
 ▶ 1936.3~1937.10 1군부터 11군까지 편재를 확대함.
 ▶ 1936.7 한인이 많았던 1·2군이 1로군으로 통합되고, 이 무렵 백두산 일대를 장악함.

□ 일제의 토벌작전
 ▶ 1936년 가을 만주국 군경은 ‘치안숙정 3개년계획’을 발동해 동북항일연군을 공격함.
 ▶ 1937.6 동북항일연군은 한인들의 활약에 힘입어 보천보 전투와 간삼봉 전투 등을 벌여 성과를 얻기도 했지만, 
 ▶ 1937.7~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남만대토벌과 삼강토벌로 세력이 감소함.
 ▶ 1938년 가을 이어 일제의 ‘3개성 연합대토벌’로 인해
 ▶ 1940년 무렵 약 4.4만 명에 달하던 동북항일연군은 약 0.15만 명만 남을 정도로 괴멸됨.

□ 소련으로 이동
 ▶ 이에 동북항일연군 간부들은 소련에 원조를 요청하고, 대원들은 소련 영토로 이동함.
 - 김일성을 포함한 부대들도 동만주에서 소련 연해주로 넘어감.

 ▶ 1942.7 소련으로 이동한 동북항일연군은 교도려로 재편됨.
 - 교도려에는 중국 공산당 조직도 함께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의 정치 영향을 받음.
 ▶ 1942.8 교도려는 다시 ‘소련 적군 88특별저격여단(88려)’으로 개편되고, 
 - 김일성은 여기에 속한 140~180명의 한인을 기반으로 동북항일연군의 주요 간부가 됨.

□ 만주 진출과 정치 세력화
 ▶ 1945.4~6 중국 공산당 제7차 대표자 대회에서 동북항일연군 간부들은 독자적인 정치·군사 조직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 1945.7 공산당 세력은 만주 장악과 조선 진입을 위해 중국인과 조선인 조직을 각각 따로 준비함.
 - 최용건(46)과 김일성(34)은 각 ‘신동북위원회의’ 서기와 ‘조선공작단’의 단장이 되어 이후 북한 지도자로 성장함. 
 ▶ 동북항일연군은 동북인민자위군으로 개칭하고 만주 각지에 거점을 마련함.

■ 이후
 ▶ 1945.8 소련군이 만주에 진출하자 일부 한인들은 소련군과 함께 대일작전에 참가함.
 🌺 1945.8 광복
 ▶ 1945.9~ 김일성·최용건 등이 귀국하여
 ▶ 1948.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세움.




# 참고 자료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동북항일연군]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