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납
 - 공납은 지역에서 나는 생산물을 현물로
            납부하는 것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왕실의 수요는 늘어남
 - 조선의
            수세 체계는 공납·전세·요역·군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납은 국가
            재정 수입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공납의 문제점 
             □ 방납의 폐단
 - 군현에서 더 이상 토산물을
            생산하지 않을 경우에도 물품을 납부해야하고, 현물의 상태가 안 좋으면
            점퇴(물품을 거부)시키는 경우가 발생
 → 백성들은
            방납 업자에게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공납을 맡기게 됨
 → 결국, 방납 업자만 이득을 보는 구조가 만들어지고, 그들은
              과도한 수수료를 챙김 
             □ 임진왜란 이후, 궁궐 공사로 인해 백성들의 부담이 증가한 상황
            
             □ 공납은 과거 지방 관료가 중앙에 있는 왕에게 바치는 의미가
              있어, 이를 수정하기 위해선 국가의 인정이 필요 
          
            ■ 대동법 실시
 - 지역 토산물을 거두던 공납을 폐지하고, 토지 면적별로 쌀 등을
              거두는 대동법으로 대체 
 → 1608
            경기도에서 최초로 시행
 → 1624
            강원도·충청도·전라도에서 시행 - 1625
            충청도·전라도에서 폐지
 → 1647
            평안도에서 별수법(대동법과 동일한 효과) 시행
 → 1651
            충청도 시행
 → 1658
            전라도 연해 지역 시행
 → 1662
            전라도 산간 지역 시행
 → 1666
            함경도에서 상정법(변형된 대동법) 시행
 → 1677
            경상도 시행
 → 1708
            황해도 시행
          
            ■ 영향
 - 백성들의 부담 감소, 양반 지주의 부담
            증가, 국가 조세 운영 안정
 - 토지 1결당 12두 씩을
            거두는 세납의 기초를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