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1801
            신유박해 - 주문모 신부의 처형으로 조선에서 정식 사제가
            없어짐
 → 1816
            정하상, 유진길 등은 조선 천주교회 재건과 외국인 선교사 입국에
            노력
 → 1827.9
            교황청과 산하 포교성성에서는 파리 외방정교회에 조선을 도와줄 것을
            요청
 → 1831
            브뤼기에르(Bruguiére) 주교가 조선
            교회에 목자로 지원하면서 조선대목구가 설치 - 1대
            교구장에 취임
 → 1832
            브뤼기에르 주교가 마카오에서 출발, 모방(Maubant) 신부를 만나 함께
            조선으로 향함
 → 1834.1
            조선대교구의 보좌로 중국인 유방제 신부가 정하상의 안내를 받아
            입국
 → 1835
            브뤼기에르 주교가 병으로 사망
 → 1836.1
            모방 신부가 입국하여 조선 천주교회를 이끌며 선교활동을 실시
 → 1837.12
            2대 교구장으로 앵베르(Imbert) 주교
            입국, 이후 샤스탕 신부 입국
          
            ■ 기해박해
 - 1834
            헌종 8세에 즉위, 순원왕후의 수렴청정
            시작 - 시파 세력이 정국을 주도
 → 1837
            벽파 계열이 정국을 주도하며 천주교 탄압 상소를 올림
 → 1839.3 순원왕후는 사학토치령을 공포 → 남명혁, 박희순 등 9명이 처형되고, 이후에도 박해는
            지속됨
 → 1839.7
            앵베르 주교는 포도청에 출두하고 모방, 샤르뎅 신부에게 자수를 권유
 → 서양인
            선교사 3인 참수
 → 1839.10
            척사윤음 반포
 → 1839.12
            마지막 처형 실시
 - 모두 54명 참수, 60여 명이
            사망하여 100여 명이 넘는 순교자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