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918
            고려 건국
 → 930
            태조는 서경에 학교를 설치하고 서업(서예), 의업(의학), 복업(점술)을
            교육
 → 936 후삼국 통일 
          
            ■ 국자감
 → 992
            개경에 국자감 설립 (혹은 기존의 국립 교육기관을 대대적으로 개편)
 - 국가 교육 기관으로 관리 지망자를 양성·선발하였으며, 유학과
              전문 기술 분야를 교육 
 → 11. 문종 대(1046~1083)
            공교육의 입지는 낮아지고, 사교육의 입지는 올라감
 - 최충의
            9재 학당 등 사학 12도 형성
 → 1109.7
            7재 설치 - 특정 분야에 대한 상위 교육 수행
 → 1119
            양현고를 설치하여 국자감 재정을 보충
 → 17. 인종 대(1122~1146)
            국자감 학식 제정
 - 유학 학부: 국자학은 문무관
            3품 이상, 태학은 5품 이상, 사문학은 7품 이상의 자제가 입학
 - 기술
            학부: 율학(법학)·산학(수학)·서학(서예)은 8품 이하의 자제와 서인
            입학
 → 1170~ 무신 집권기 
 → 1270~ 원 간섭기 
 → 1280 국자감
            정상화를 시도했지만, 이루지 못함
 → 1352.2
            공민왕은 국학 부활과 생도 양성을 지시
 → 1362
            성균관으로 개칭
 → 1367~
            불타버린 국학을 다시 짓고, 이색·정몽주 등을 학관으로 임명
          
            ■ 조선의 성균관
 - 수도를 한양으로 천도할 때,
            성균관도 한양으로 이동
 - 고려와 달리 조선의
            성균관은 기술 교육은 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