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 BCE 202
진나라 멸망 후 유방이 초한 전쟁에서 승리하며 한나라를 세움.
▶ BCE 194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정권을 탈취함.
▶ 한은
위만을 외신으로 삼고, 국경 방어와 이민족 교섭의 중개자 역할을
맡김.
- 이에 따라 위만조선은 형식적으로 한에
복속되었지만, 내부 자치를 유지하며 강력한 위세와 부를 얻음.
▶ 우거왕
시기 위만조선이 한과 주변국 사이의 교섭을 독점하며 영향력을 키우자,
한 무제는 이를 문제 삼으며 긴장이 고조됨.
■ 고조선 멸망
▶ BCE 109 한 무제가 외교 문제 해결을 위한 사신을 보내 경고했으나
고조선은 거부했고, 이어 사신이 고조선의 비왕 장을 살해한 뒤 도망치자 고조선은 그를
죽임.
▶ 이를 계기로 한 무제는 고조선을 반란 세력으로
규정하고 본격적으로 군대를 일으킴.
□ 초반 전투와 협상의 실패
▶ 한군은 양복(해로, 7천 명)과 순체(육로, 5만 명)를
내세워 공격을 개시했지만, 고조선이 이를 모두 격퇴함.
▶ 양측
모두 부담을 느껴 협상을 시도했으나, 한의 무장 해제 요구를 함정으로
의심한 고조선 태자가 회군하면서 결렬됨.
□ 한군 내부의 갈등
▶ 전쟁이 재개되자 한군은 왕검성을 포위했지만 쉽게
함락하진 못했음.
▶ 순체는 적극 공격했으나 양복과
협력하지 못해 갈등이 깊어졌고, 결국 양복이 고조선과 내통한다고
의심해 무제의 사자와 함께 그를 체포하고 지휘권을 넘겨받음.
□ 고조선 지배층의 분열
▶ 순체의 공격은 거세지며 고조선 내에서도 전세가 불리해지자
지배층이 항복을 시도하며 분열했고, 끝까지 저항한 우거왕은 내부
인물에게 암살당함.
▶ 이후 성기를 중심으로 저항이 이어졌지만, 그 역시
제거되며 저항은 완전히 무너졌고,
▶ 기원전 108년 결국 왕검성이 함락되며 고조선은 멸망함.
■ 한사군 설치
▶ 고조선 영토에 낙랑군, 임둔군, 진번군, 현도군 등 네 개의
군(한사군)이 설치되었으나,
▶ 임둔군과 진번군은 곧 폐지되어 낙랑군과 현도군에
흡수되었고, 현도군도 요동 쪽으로 옮겨지며 사실상 기능을 잃었음.
▶ 결과적으로
낙랑군만 고조선의 옛 중심지에 오랜 기간 유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