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복궁 중건
 - 조선의 첫 법궁으로 국왕의 공식
            업무와 의례가 이루어지던 곳이었지만 임진왜란 이후 폐허가 됨
 → 1610
            창덕궁이 법궁으로 사용됨
 → 1865.4 신정왕후는 경복궁 중건 논의를 명하고, 흥선대원군에게
              총책임을 맡김 
 - 경복궁 중건을 통해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세도정치를 견제하고자 함
 → 영건도감 설치
 - 영의정·좌의정을
            도제조로, 비중 있는 인물들을 제조·부제조로 임명함
 - 재정이
            부족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공사 추진하여,
            원납전(기부금)·통행세·당백전·백성 강제 동원 등을 통해 경비를 충당
 → 흥선대원군은 영건도감을 통해 재정과 유력 인사들을
              통제 
 → 1866~
            병인박해, 제너럴셔먼호 사건, 병인양요로 중건이 지체됨
 → 1866.6
            궁성과 네 개의 문 공사 완료
 → 1866.10
            원납전 1만 냥 이상을 낸 사람들에게 관직·관품을 주어 시상함
 → 1866.11
            고액 화폐인 당백전 주조
 → 1866.12 당백전 통용 → 물가 폭등
 → 1867.4
            시상함
 → 1867.8
            건물과 문의 이름을 지음
 → 1867.11~1868.6
            새로 지은 건물에 이름 지음
 → 1868.7 고종은 대비들을 모시고 거처를 경복궁으로 옮김 
          
            ■ 경복궁 중건 이후
 → 1873
            고종의 지시로 건청궁 영건
 → 1873.10
            원납전 철파
 → 1873.11
            흥선대원군 실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