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훈민정음 반포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로 우리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문자

■ 훈민정음의 두 가지 의미
  가. 세종이 창제한 글자의 공식 명칭, 한글이라 부르는 우리말 표기체제
  나. 정인지 등 집현전 학자들이 집필한 한문 해설서의 제목 - 책에 해례가 붙어 있어 ‘훈민정음’ 해례본이라 함

■ 훈민정음 창제
 - 이전에는 구어(말)와 문어(글)가 달라 이두, 구경, 향찰 등과 같은 차용 표기 체계 사용
 → 1443 세종은 언문(우리말을 적기 위한 문자)을 만들고 ‘훈민정음’이라 함 
 → 1444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가 대표로 올린 상서에 우리 글자를 만들면 안 되는 6가지 이유를 설명
 → 1446.9 정인지, 신숙주 등 8인과 보완하여 훈민정음해례본(국보 70호) 편찬 
 → 1940.7 훈민정음해례본 발견

 훈민정음해례본 - 문자를 만들게 된 원리와 이론적 근거, 실제 운용 예 등을 설명한 책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
  가. 훈민정음 예의(보기와 뜻) - 창제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글꼴, 규정 등을 세종이 직접 작성
  나. 해례 - 집현전 학자들이 ‘예의’를 세분하여 상세히 설명
  다. 정인지의 서(훈민정음 후서) - 한글을 창제한 세종을 칭송, 참여자와 편찬 연월일 기술
■ 언해본 - 한문으로 쓰인 ‘예의’를 우리말로 해석한 것으로 ‘월인석보’에 있는 ‘세종어제훈민정음’ 부분을 말함
■ 실록본 - 1446.9 세종실록 병인년 기사로 ‘예의’를 요약한 내용과 정인지의 서문을 말함

■ 훈민정음 보급
 - 왕실과 국가 기관 주도로 연산군 대까지 언해(우리말 번역)와 정음 문헌을 50년간 집중 간행
 - 15~16세기 간행물은 불경이 대부분을 차지

■ 국가 정책을 쉽게 알리는데 활용
 국문학이 발전하는 계기, 민족 문화가 발전하는 바탕이 됨 

■ 한글날(10월 9일) - ‘해례본’ 정인지의 서문 날짜를 양력으로 환산하여 대략 10월 9일로 정함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중학교 역사2, 미래엔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