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절 발포사건(1947)
- 해방 직후, 6만여 명의 제주도민이 일시에
귀국하며 사회적 문제 발생 - 취업, 식량난 등
- 일제 부역 경찰이 군정 경찰로 변하여 주민을 억압하고, 우익
청년단들이 가담하여 폭력을 행사
→ 1947.3.1
좌파진영 민족주의 민족전선은 3.1절 28주년 기념집회를 주최
→ 기념식이
끝나고 시가행진 중 어린아이가 기마경찰이 탄 말에 치여 다치는 사고
발생
→ 기마경찰이 무시하고 가려 하자 일부
군중이 경찰을 공격하고, 경찰은 군중에게 총을
발포 - 사상자 발생
→ 남로당(남조선
노동당) 위원회는 ‘3.1절 발포 사건 대책 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활동
개시
→ 3.10 발포 사건에 항의하며 총파업 시행 - 제주도 내 기관 및 단체의 95%가 참여
→ 미군정은
좌익 세력에 책임을 돌림
→ 이후, 4.3 사건 발생
전까지 2,500여 명이 구금됨
■ 제주 4.3 사건(1948)
→ 미군정은 소련과 협상을 포기하고 UN에 한반도 문제를 이관하며
남한 단독선거가 가시화됨
→ 1948.2
남로당은 단독선거 저지를 위한 전국 총파업을
시행 - 제주도당은 무장투쟁 방침 채택
→ 1948.4.3 2:00 남로당 350여 명은 제주 경찰지서와 우익단체 숙소 등을
습격
- 탄압 저항, 남한 단독선거 반대, 통일 독립,
반미 구국 투쟁을 내세움
→ 미군정은 제주도
해안을 봉쇄하고, 경비대 9연대를 투입
→ 4.28
연대장과 무장대 총책은 평화협상에 합의하지만, ‘오라리 방화 사건‘이
발생(5.1)하며 협상은 파기됨
→ 5.3
방화 사건이 우익 청년들의 소행임이 드러났지만, 미군정은 경비대에게
총공격을 명령
→ 5.10 총선거(남한 단독 선거) 시행 - 제주도는 투표수 과반 미달로 무효처리됨
→ 1948.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 11.17 제주 전 지역에 계엄령 선포하고, 이듬해 3월까지 제주 ’중산간
지역 초토화작전‘ 진행
→ 군경과 서북 청년단은 주민을 집단
사살 - ’북촌 사건‘ 등 인구 10%가 사망
→ 12.31
계엄령 해제
→ 1949.6
무장대 총책이 사살되며 무장대는 사실상 궤멸
→ 1950.6.25 한국전쟁 발발 → 전쟁 초, 인민군에게 협력할 ‘개연성’이 있는 관련자 3,000여
명 즉결 처분
→ 1954.9.21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되며, 4.3 사건은 사실상 종결
■ 이후
→ 2000.1
「제주 4.3 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공포
→ 2000.8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가 발족하여 진상조사에 착수
→ 2003.10
대통령은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국가권력에 의한 대규모 희생이
이루어짐을 인정
→ 2008.3
제주시 4.3 평화공원 개관
→ 2014
‘4.3 희생자 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