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 16C 후반, 누르하치를 중심으로 여진족
사회가 성장하고, 임진왜란 때 세력을 확장
→ 1616
여진족은 후금을 건국
→ 명은 후금 토벌을
실시하지만 심하전투(1619)에서
대패 - 조선도 명과 함께 참전하지만, 연산군의 중립
외교로 후금과의 관계는 악화하지 않음
→ 1623
인조반정으로 인조 즉위
→ 인조 정권은 친명배금 정책을 시행하고 명의 장수 모문룡을 지원
→ 후금은 요동
정벌 후, 요서 지방에 진출하다가 명에게 패배하고 누르하치가 사망
→ 누르하치의
뒤를 이은 홍타이치는 모문룡 제거와 조선 복속을 위해 전쟁을 일으킴
■ 후금은 명을 공격하기 전에 배후(조선)의 공격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음
■ 고려에서 이괄의 난(1624)에 가담한 일부가 후금으로 도망가 인조반정의 부당성을 주장
- 후금은
광해군을 위해 보복한다는 구실을 내세우며 조선을 공격
■ 정묘호란
- 1627.1.13
후금은 의주를 공격 → 1.24
후금은 평양에 진주
→ 조선 조정은 분조를
실행 - 인조는 강화도로,
소현세자는 전주로 향함
→ 조선은
군대를 정비하여 임진강과 한강을 방어선으로 삼음
→ 후금은
명의 본국 공격과 군수 보급 등의 문제가 있었고, 조선은 군사력과
식량의 부족으로 두 국가 모두 전쟁을 장기화할 수 없기에 강화를
맺음(정묘화약)
- 후금은 조선에 형제의 관계를
맺을 것을 제의하고 → 조선은 명과 사대관계를 유지하면서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음
- 조선에서는 명과의 사대의리를 강조하는 강화
반대 여론(척화론)과 전력의 열세로 화친을 주장(주화론)하는 세력으로
나뉨
■ 정묘호란 이후
- 1627.9
후금군 완전 철병
- 명은 조선이 후금과 통교하기에
비난·의심을 하고, 후금은 조선이 명을 돕기에 비난함
→ 1636
후금은 청으로 국호를 바꾸고서 조선에 군신관계를 요구
→ 1636
병자호란 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