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87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규슈지역을 공격하던 중 쓰시마 도주에게
조선의 일본 복속 교섭을 명령
→ 쓰시마에서는
통신사 요청으로 바꾸어 조선의 허락을 받음
→ 1590
조선은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
→ 통신사가 귀국하여
황윤길과 허성은 침략 가능성을, 김성일은 다른 의견을 제시
→ 조선은
남부 지역 수비를 보강
■ 임진왜란 발발
- 왜(일본)는 조선에 명을 정벌하러 가는 길을 빌려 달라고
함
→ 조선이 요청을 거절하자 이를 구실로 조선을
침략
→ 1592.4.13 일본의 선발대가 부산에
상륙 - 고니시 유키나가, 소오 요시토시 선봉
→ 부산진에서
정발, 동래에서 송상헌이 패배
→ 일본군이
한양으로 북상하는 과정에서 조선군 대부분은 패하거나 도망
→ 상주에서
이일이, 충주 탄금대에서 조선 최정예 부대인 신립의 군대가
패배 → 선조는 피난을 결정
→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서북 최북단)로 피난(20여 일 만에 한성 함락)
→ 선조는
요동 지역으로 피난 시도하면서 광해군에게 의병 봉기를 촉구
→ 일본군은
한성에서 회의하여 유키나가는 평안도로, 기요마사는 함경도 방면으로
북상
■ 수군과 의병을 활약
- 1592.5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은 옥포, 사천, 당포, 한산도 등에서
승리하며 전라도를 지키고, 일본군의 보급 계획(서남해안으로 보급품
전달)을 차단
→ 일본군은 곡창지대 미확보로 군량 수급에
차질이 발생(일본군은 조선에서 식량을 수급할 계획이었음)
- 경상도에서
곽재우 등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발생
- 류정(서산대사), 유정(사명대사) 등 승려들도 일본에 대항 - 주로 게릴라전을 시행
- 관군은 재정비하여 권율의 행주대첩, 김시민의 1차 진주성 전투
등을 수행
■ 명은 대륙으로 진출하는 일본군을 막기 위해 지원군을 파견
- 선조는
의주에서 명에 구원을 요청 → 요동에 있던 조승훈 부대가
참전하지만, 평양전 전투에서 패배
→ 명은 송응창,
이여송이 이끄는 대규모 부대를 파견
→ 이여송이
이끄는 명군이 유키나가가 주둔하던 평양성을 탈환하자 일본군은
한성으로 퇴각
→ 명은 소규모 부대로 벽제관까지 진격하지만,
복병을 만나 패함 - 벽제관 전투
■ 일본의 휴전 요청
- 명은 벽제관 전투 패배 이후
군대를 개성으로 돌림
- 일본군은 보급 문제,
의병의 공격, 명군과의 전투 후, 전쟁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판단
→ 명과
일본은 강화 교섭을 시작 (조선은 개입하지 못함)
→ 조선은 훈련도감을 설치하고 지방군을 속오군으로 편재하여
교섭 결렬에 대비
→ 1596.9 명은 히데요시를 왕으로 책봉하지만,
히데요시는 전리품을 받지 못하자 조선 재침을 결정
■ 3년간 지속되던 휴전 회담 결렬
- 1597.2 일본군은 조선에 상륙하기 시작하여,
7월부터 북상하기 시작 - 정유재란 발발
→ 1597.12
명군은 울산성에 주둔하던 기요마사를 공격 - 일본군은
패배하진 않았지만 기세는 하락함
→ 1598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은 명량에서 대승
→ 1598.8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철군을 지시
→ 이순신은
해상에서 철군하는 일군을 추격하다 노량해전에서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