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임오군란

■ 경제적 어려움에 빠진 민중과 구식 군인의 저항
■ 배경
 - 1873.11 고종의 친정 선포 - 개화정책 추진, 민씨 세력 집권
 → 1876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체결 - 이후 곡물 가격이 폭등
 → 1880 통리기무아문을 설치 - 개화정책 추진 기구
 → 1881.4 5군영 체제를 2군영 체제로 축소, 별기군 창설하고 일본인 교관 초빙
 - 상당수 군인들이 실직하고, 남은 군인들은 별기군에 비해 낮은 대우를 받음

■ 임오군란 발발
 - 1882.7.19 구식 군인들이 13개월 밀린 월급을 받는 날
 → 군인들은 겨와 모래가 섞인 쌀이나 썩은 쌀이 지급되자 창고지기를 구타 
 → 7.22 녹봉비 책임자는 구타 주동자 4인을 체포하여 가두고 사형을 지시
 → 7.23 군인 가족들이 집결하여 소장을 작성하고 관청에 하소연
 → 무위영 대장이 이를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사태가 확산되고, 군인들은 운현궁으로 가서 대원군에게 도움을 요청
 - 군민들은 포도청, 의금부, 민씨 세도가 등을 습격하고 주동자 4인을 풀어줌
 - 또한, 별기군 교관인 일본인을 살해, 무기고 탈취하고 일본 공사관을 습격
 → 7.24 군중은 궁궐에 무혈입성
 - 고종은 흥선대원군에게 정권을 넘기고, 왕후(민씨)는 궁을 탈출하여 장호원으로 이동
 - 흥선대원군은 집권하여 통리기무아문과 별기군을 폐지(조선의 개화정책 백지화) 

■ 청의 대응
 - 청은 왕후(민씨)의 요청으로 6,000명을 출병하여 군민을 살상하고 대원군을 톈진으로 납치 
 → 고문을 파견하여 조선의 내정과 외교에 간섭 
 → 1882.9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 조선에 대한 청의 종주권 명시
 - 청 상인의 서울 상점 개설(내지통상권 인정)로 서울 상권까지 외국 상인에게 위협받음
 → 갑신정변까지 1,500명의 청군이 조선에 주둔
■ 일본의 대응
 - 일본은 거류민 보호 구실로 군함 4대, 육군 1개 대대를 파견 - 임오군란 관련자 처벌, 피해보상, 사죄 등을 요구
 → 제물포 조약(1882) 체결 - 일본에 배상금 지불, 공사관에 경비 병력 주둔 
 → 1883.7 관세 협상과 조일통상장정(최혜국 대우)을 체결

■ 결과
 - 청군과 일본군이 조선에 주둔 
 - 개화세력은 온건 개화파와 급진 개화파로 나뉘고, 급진 개화파는 갑신정변(1884)을 일으킴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중학교 역사2, 미래엔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임오군란]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