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기 이념
첫째, 일본에 의해 시해된 명성황후의 복수
둘째,
개화가 나라를 망하게 할 것이므로, 조선의 전통을 지키고 외세를 물리칠
것
셋째, 일본을 주된 적으로 삼아 싸워야 한다는 것
■ 이전
▶ 1895.10.8 (음 8.20)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
▶ 1895.11.15
단발령 조칙이 발표되고 강제적으로 시행
- 을미사변과 단발령은 척사파 유생들에게 일본의 침략과
봉건질서 해체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받아들여짐
■ 을미의병
- 지방의 유명한 유생 중심으로
갑오·을미정권의 친일파 관료 등을 처단하고 일본군에 항전
□
경기도 이천
▶ 1895.11~1896.2
김하락 등이 남한산성 등지에서 의병 투쟁을 벌임
□
원주의병(지평의병)
▶ 1895.11
이춘영, 김백선 등이 봉기 → 충북 제천의 이필희 의병과
결합하여 유인석 휘하에 들어감
▶ 12.8
유인석 의병부대는 충북 단양에서 관·일 연합군에 승리
▶ 1896.1
충주부를 공격하여 점령 → 관·일 연합군 반격으로
제천으로 물러나고, 문경에서 거병한 이강년 부대가 합류
▶ 1896.4
관·일 연합군에게 제천 근거지를 잃음
▶ 유인석은
의병을 재모집하지만 실패하고, 요동으로 이동
□ 강원도 강릉
▶ 1896.1
민용호가 관동9군도창의소를 설치하고 강릉부 고준석을 처단
▶ 1896.3
원산 공격 실패 → 영서, 황해도, 평안도에서 활동
▶ 1896.9
함흥으로 이동 → 일군에게 공격을 받아 만주로 이동
□
충청도 홍주(홍성군)
▶ 1895.12 초
김복한·이설·안병찬 등이 거병하였지만, 관찰사의 배신으로 끝남
□
경상도 진주
▶ 1896.1 초
노응규, 전한용 등은 군기고 무기를 탈취하여 봉기
▶ 1896.4
김해에서 일본군과 공방
□ 경상도 안동
▶ 의병들은
안동부를 점령하고 권세영을 의병장으로 추대
▶ 1896.1
예천 군수를 제거하고 무기를 탈취하였지만, 지원나온 관군에게 밀려
안동부를 잃음
□ 경상북도 김산(김천 일대)과 상주
▶ 1896.2
허위, 이기찬 등이 금릉(김천 일대) 등지를 점령하고 대구로
이동하였지만, 관군에 의해 해산
□ 전라도 나주
▶ 1896.3
기우만 등은 광주에서 호남창의군 편성하였지만, 관군에 의해 해산
■ 이후
▶ 1896.2.11 아관파천 -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에 친일파 대신 체포를 명함
▶ 정부는
의병에게 해산을 종용
▶ 1896.6
대부분의 의병이 해산하고, 일부는 영학당이나 활빈당 등으로 재편되어
투쟁을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