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성들의 정신을 하나로 모으고 국왕의 권위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사상 필요
- 선업을 쌓고 불법을 수호하는
국왕의 권력을 정당화
■ 삼국의 불교 수용 - 공인 이전에 전래되어 있었음
□ 고구려 - 4C
소수림왕
→ 동진(晉)과 고구려 고승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
→ 372
불교 공인 - 전진(秦)으로부터 불상과 경문이 들어옴
→ 375
고구려 최초의 사찰인 초문사와 이불관사 건축
□ 백제 - 4C
침류왕
→ 동진과의 교류를 통해 불교를 접했을 가능성이
높음
→ 384 불교
공인 - 동진으로부터 전래
→ 385
사찰을 건축하고 승려를 배출
□ 신라 - 6C
법흥왕
→ 고구려로부터 전래 - 묵호자
설화(왕녀의 병을 치료)와 아도 설화(공주의 병을 치료)
→ 527
법흥왕은 흥륜사를 지으려 했으나 신하들이 반대
→ 527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 공인
→ 544
경주 흥륜사지 완성 - 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