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6.25 전쟁

한국 전쟁, 6.25

◆ 세줄 요약

북한군의 남침으로 낙동강까지 밀리지만, UN군의 인천상륙작전으로 서울을 탈환함.
한국·UN군은 압록강까지 진격하지만, 중국군 참전으로 38선 부근까지 철수함.
38선 부근에서 교착상태가 이어지자 정전협정이 체결되고, 한반도에 군사분계선이 설치됨.

■ 배경
 → 광복 이후, 한반도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됨
 → 1949.3 북한 지도부는 무력 통일을 구상
 → 1949 주한 미군의 남한 철수(6월), 소련의 원자탄 실험 성공(8월),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10월)이 이어지며 국제 정세가 변화함
 → 1950.5 공산주의 3국(북한, 중국, 소련)은 남한 공격에 합의

■ 6.25 전쟁 발발과 UN군 참전
 → 1950.6.25 새벽 북한군은 38도선 전역에서 공격을 시작함 →  낙동강까지  진출
 - 북한군은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했지만, 1개월 이내에 전쟁을 끝낸다는 계획은 실패함
 → 곧바로 UN 안전보장이사회가 긴급 소집되어 북한의 행위를 침략으로 규정
 → 1950.7.7 UN군 구성이 결정됨 - 미 극동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를 UN군 사령관으로 임명
 - 대통령 이승만은 국군 지휘권을 유엔군 사령관에게 넘김
 → 1950.8~9 UN군과 한국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지킴
 → 9.15 UN군은 261척의 함정과 75,000여 명의 병력을 투입하여 인천상륙작전에 성공함 
 → 9.26 UN군은 서울 진입 → 동해안과 서해안을 따라 38도 선까지 북상
 → ‘10.7 통일한국 건의안’에 따라 UN군의 목적을 ‘한반도 원상회복’이 아닌 ‘완전한 군사적 승리’로 재규정
 → 한국군과 UN군은  압록강, 청진까지  진격

■ 중국군 참전
 → 1950.10 20,000여 명의 중국군이 압록강을 넘어 한반도로 진입 
 → 중국군의 서부전선 공격으로 UN군의 방어선이 붕괴함
 → 12.15~23 흥남 철수 작전 - UN군과 한국군, 피난민 철수
 → 12.26 중국군·북한군은 38도 선을 넘어 남진
 → 1951 1.4 후퇴 - 중국군·북한군이 수도 서울을 점령
 → UN군의 서울 재탈환 이후, 3월 말부터  38선 부근에서  전선이 교착됨

■ 정전 회담
 → 1951.7.10 정전회담 시작
 → 송환을 원치 않는 포로들의 처리 문제 발생 - UN군은 포로들의 자유 송환을, 공산당은 자동 송환을 주장
 → 정전회담이 장기화되는 동안 38선 부근에서 고지 전투가 계속됨 
 → 1953.4.16 정전 회담 재개
 → 6.18 이승만 정권은 UN군이 억류하던 송환 거부 포로를 석방
 → 7.27 10:00 정전 협정 조인 - 군사 분계선(휴전선) 확정, 비무장 지대 설치 등을 규정
 - 정전 협정은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에 발효되어 오늘까지 일째 유지되고 있음.

■ 이후 및 영향
 - 1953.10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여 미군이 한국에 주둔하게 됨
 - 이산가족 발생, 수백만 희생자 발생, 산업 시설 대부분 파괴, 민족 간 적대감과 불신으로 분단 고착화
 - 남한의 극우 반공 체제 강화와 북한의 단일 지도 체제 수립에 영향을 미침
 - 미국과 소련은 군사력을 증강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바르샤바조약기구 등 집단 안보 체계를 강화

■ 거창 양민 학살 사건, 노근리 학살 사건, 국민 보도 연맹원 학살 사건 등 발생

♠︎
1. 북한군은 38도선 전역에서 공격으로 시작하여 낙동강까지 진출
2. 남한군과 UN군은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압록강, 청진까지 진출
3. 중국군이 한반도에 진입하고 38선 부근에서 전선이 교착됨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2023
중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2023
[6·25전쟁]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2024.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