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

한국사 연표 5.16 군사 정변

■ 4.19 혁명 이후의 상황
 - 학생층, 언론·노동계 등 다양한 집단의 정치적 요구 표출, 국가 폭력에 관한 진상 규명 요구 등
 - (6.25 전쟁을 거치며 규모가 팽창한) 한국군은 정군운동을 추진
 - 미국은 케네디 행정부로 정권 교체되며, 경제 원조는 무상원조보다는 차관에 비중을 둔 대외정책을 채택

1961.5.16 새벽 2군 부사령관 소장 박정희와 육사 8기 주도 세력은 한강을 건너 서울의 주요 기관을 점령 
■ 군사정변 전개
 - 해병대와 공수부대가 서울 시내로 진입하여 육군본부를 장악
 → 주력은 서울 시청 진주
 → 오전 4:30 해병대는 치안국과 서울시 경찰국 접수, 공수단은 중앙방송국을 접수
 → 쿠데타 세력은 ‘혁명공약’을 발표하고, 비상계엄령을 선포 

■ 대응과 군사정변 이후의 전개
 - 윤보선 대통령은 UN군 사령관의 한국군 동원 요청에 쿠데타 진압 반대 의사를 표시
 → 5.18 장면 총리는 내각 총사퇴를 발표하고, 군사혁명위원회에 정권 이양
 → 5.19 군사혁명위원회가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
 → 5.20 중앙정보부 구성
 - 미국은 불개입 태도를 유지하다 20일에 쿠데타 추인하고, 7월에 공식적으로 지지 성명을 냄

■ 군사정부 - 헌정 중단
 -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박정희가 전면에 등장하여 정계, 경제, 사회, 언론, 농어촌에 대해 ‘정화’ 조치 시행
 - 반공법 제정, 국가보안법 개정
 - 1961.8 박정희 의장은 권력의 민정 이양을 2년 후로 늦춘다고 발표
 → 1962.12.17 국가재건최고회의는 국민투표로 헌법 개정 → 대통령제, 국무총리제, 비례대표제 채택
 → 1963.2 김종필 주도하에 민주공화당 창당
 → 1963.8 박정희는 전역해서 민간인 신분으로 공화당 총재직과 대선 후보를 수락 
 → 1963.10.15 대통령 선거 - 민주공화당 박정희는 민주정의당 윤보선을 이기고 당선

□ 정군운동은 국군 내 하급 장교들이 상급 장교들의 용퇴를 요구한 운동
□ 혁명 공약 6개 항
 1. 반공을 국시의 제일로 삼고 반공 태세를 재정비 강화할 것
 2. 미국을 위시한 자유우방과의 유대를 공고히 할 것
 3. 모든 부패와 구악을 일소하고 청렴한 기풍을 진작시킬 것
 4.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고 국가 자주 경제의 재건에 총력을 경주할 것
 5. 국토통일을 위하여 공산주의와 대결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할 것
 6. 양심적인 정치인에게 정권을 이양하고 군은 본연의 임무로 복귀한다는 것



# 참고 자료
중학교 역사2, 금성출판사
중학교 역사2, 미래엔
고등학교 역사2, 미래엔
[5.16 군사정변] 한국사 연대기, 우리역사넷
[정군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